도시별 인구순서를 살펴보겠습니다.
1) 광역시 인구순위
부산 350만
인천 300만
대구 250만
대전 150만
광주 150만
울산 120만
세종 30만
순서로 높게 되어있스빈다.
2) 수도권을 제외한 인구수는
1,300만 경기도
경상남도 330만 명
경북 270만
충청남도 200만
전라북도 180만
전라남도 180만
강원도의150만
충청북도 150만
제주도 66만
순서로 되어있습니다.
지방에 있는 20만 개 이상의 도시를 좀 더 자세히 열거하자면
강원도
1)춘천 30만
2)원주 34만
3) 강릉 21만
충청북도
1)청주시 83만
2)충주시 20만
충청남도
1)천안시 67만
2)아산시 30만
전라북도
1)전주 65만
2)군산시, 27만
3) 익산 29만
전라남도
1)목포시 23만
2)여수시 28만
3)순천시 27만
4)광양시 15만
경상북도
1)포항시 51만
2) 구미시 42만
3)경주 25만
4)경산시 25만
경상남도
1)창원시 100만
2)김해시 53만
3)진주시 34만
4)양산시 34만
5)거제시, 25만
우리가 자세히 살펴볼 부분은 빨간색으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22년 11월부로 서울과 4개 근교를 제외한 모든 지역이 조정지역에서 해제되었습니다.
기회가 된다면 서울과 가까운 인천이나 경기도가 좋아 보이지만 씨드머니가 부족하고, 서울은 지방과 다르게 공부해야 하기 때문에 지방도시에 집중해서 살펴보겠습니다.
현재 대내외적인 사정으로 매수심리가 매우 얼어붙어 있는데 그 원인을 살펴보면,
1) 가격 적정성(거품 여부)
2) 수요와 공급
3) 금리(이자율)
위의 세 가지 때문에 매수심리는 상당히 죽은 상태이고, 이것을 고려해서 투자를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먼저 인구수(최소 50만 명)의 수급 상황을 살펴보겠습니다.
1. 부산광역시
공급물량은 22년에서 23년으로 계속 줄어 적정수요 초과

2. 인천광역시
22년 23년간 최대 공급
공급물량 23년째 줄었지만 적정 수요보다 많습니다.

3. 대구광역시
최대 23년의 공급 기간
공급물량 23년째 줄었지만 적정수요보다 24년은 많은상태입니다.

4. 대전광역시, 세종광역시
14에서 22로 공급과잉 후 공급이 점차 감소하죠.
24년에 공급 과잉이 있습니다.

5. 광주광역시
공급물량 최대 23년에서 22년에는 급감합니다.

6. 울산광역시
공급 23년 이후 물량이 없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수요는 더 많을 것으로 예상돼 앞으로 공급이 부족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7. 창원시
미래에 공급이 매우 적은 지역 중 하나라고 보여집니다.

8. 청주시
수요와 공급이 안정된 지역인 것 같네요.

9. 천안시
천안은 24년까지 공급이 많이 있습니다.

10. 전주시
전주는 앞으로 공급이 거의 없을 예정입니다.

11. 포항시
포항은 24년 입주폭탄입니다. 엄청난 물량이 기다리고 있어요.

12. 김해시
김해는 23일부터 물량이 조금씩 늘어나기 시작했습니다.

지금 당장 주목해야 할 투자처(이미 너무 늦었지만..). 단, 가격이 저렴하다면 생각해볼 곳 중 하나입니다.
1) 부산광역시
2) 광주광역시
3) 창원시
4)전주
23년에 목표로 삼을 투자처(가격이 충분히 떨어졌는지, 전세가격이 오르는 곳은 어디인가?로 보여지는 4곳입니다.
1) 인천광역시 - 서울을 함께 생각할 수 있는 곳
2) 대구광역시
3) 울산광역시
4) 청주시
24년도에 우리가 찾을 적합한 투자처라고 보여집니다.
1) 천안시
2) 포항시
25년 후의 투자가능한 곳을 생각해봤습니다.
1) 김해시
*세종·대전시는 공급이 부족한 상황이지만 이미 많이 올랐기 때문에 좀 더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우리는 단순히 수요/공급 측면에 투자할 수 있는 좋은 장소를 알아봤습니다.
감사합니다.